[천자칼럼] 우리 수산물 빠진 단체급식

입력 2023-09-07 17:40   수정 2023-09-08 00:52

유엔 식량농업기구(FAO)에 따르면 2019년 세계 수산물 소비량(해조류 제외)은 1억5800만t으로, 1961년(2800만t)에 비해 5배 이상 늘었다. 1961년 전체 소비량의 48%를 차지한 아시아의 점유율은 약 60년 만에 72%로 상승했다.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수산물 소비도 늘어나서다. 한국이 대표적이다. 한국의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(2013~2015년 기준)은 58.4㎏으로 세계 주요국 중 1위다. 수산 강국 노르웨이(53.3㎏), 후쿠시마 원전 사고 전까지만 해도 세계 최대 수산물 소비국이던 일본(50.2㎏)을 앞질렀다. 2019년 기준으로는 육류(56㎏) 쌀(60㎏)보다 많이 먹는 게 수산물(69.8㎏)이다.

한국인의 수산물 사랑은 각별하다. 대구, 넙치 같은 한정된 어종만 소비하는 다른 나라와 달리 어류, 패류, 해조류 등 식용 가능한 모든 수산물을 다양하게 섭취한다. 2021년 기준 182종에 달한다고 한다. 그중 연간 소비량 톱10 수산물은 오징어(5.4㎏) 새우(4.5㎏) 멸치(4.2㎏) 굴(2.2㎏) 명태(2.1㎏) 고등어(1.5㎏) 다랑어(1.5㎏) 넙치(1.1㎏) 갈치(1.0㎏) 낙지(0.7㎏)다.

문제는 국산 수산물 비중이 갈수록 줄어든다는 점이다. 우리 식탁은 글로벌화한 지 오래다. 오징어는 칠레, 페루, 중국산이 대세다. 올 상반기에는 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이 줄면서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41.2%나 늘었다. 서아프리카 문어, 노르웨이 고등어, 세네갈 갈치, 베트남 주꾸미를 식탁에서 만나는 것도 흔한 일이다. 식탁은 다양해졌지만 수산물 무역적자가 갈수록 늘고 있다. 2016~2020년 수산물 수출액은 116억3905만달러, 수입액은 275억9900만달러로 누적 적자가 159억5995만달러(약 17조142억원)에 달했다.

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어려움에 처한 수산업계를 위해 정부·여당이 단체급식 업체에 국산 수산물 소비 확대를 주문하고 있지만 잘 되지 않는 모양이다. 김, 미역 등 해조류를 제외하면 수입 냉동제품을 쓰는 곳이 많은 데다 국산과 외국산의 가격 차가 크기 때문이라고 한다. 급식업체에 보조금이라도 줘야 할까.

서화동 논설위원 fireboy@hankyung.com


관련뉴스

    top
    • 마이핀
    • 와우캐시
    • 고객센터
    • 페이스 북
    • 유튜브
    • 카카오페이지

    마이핀

    와우캐시

   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
   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
    캐시충전
    서비스 상품
    월정액 서비스
   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
    GOLD PLUS 골드서비스 + VOD 주식강좌
   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+ 녹화방송 + 회원전용게시판
    +SMS증권정보 + 골드플러스 서비스

    고객센터

    강연회·행사 더보기

   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.

    이벤트

   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.

    공지사항 더보기

    open
    핀(구독)!